위협요소
PC에서 진단된 악성코드나 차단된 랜섬웨어 차단에 대한 진단 날짜와 처리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A 영역
위협요소 로그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Ø 모든 위협 : 악성코드, 행위기반탐지, MBR보호, 자체보호, 랜섬웨어와 같은 진단 및 치료(삭제,차단)시 기록된 로그를 보여줍니다.
Ø 악성코드 : 실시간검사, 기본검사, 정밀검사, 예약검사 와 같은 검사를 통해 발견된 악성코드를 진단 및 치료(삭제)시 기록된 로그를 보여줍니다.
Ø 행위기반탐지 : 행위기반탐지 기능을 통해 발견된 악성코드를 진단 및 치료(삭제, 차단)시 기록된 로그를 보여줍니다.
Ø MBR보호 : MBR보호 기능을 통해 발견된 악성코드를 진단 및 치료(삭제, 차단)시 기록된 로그를 보여줍니다.
Ø 자체보호 :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자가보호중인 프로세스의 불법적인 접근이 발생시 기록된 로그를 보여줍니다.
Ø 랜섬웨어 : 랜섬웨어 차단 기능을 통해 발견된 악성코드를 진단 및 치료(차단)시 기록된 로그를 보여줍니다.
B 영역
Ø 날짜 지정 : 검색 날짜는 시작일과 종료일을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.
Ø 검색어 입력란 :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.
Ø 검색 : 로그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.
Ø 상태 : 위협 형태가 악성코드일 경우 감염/치료/실패/모두로 구분하여 로그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
Ø 개수 : 화면에 출력되는 개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(50/100/200/300/500 중 선택)
Ø 새로고침 : 로그의 내용을 최신 정보로 고칩니다.
C 영역
모든 위협
Ø 날짜 : 해당 로그가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.(연-월-일 시:분:초)
Ø 위협형태 : 해당 로그의 위협형태를 표시합니다.
(악성코드/행위기반탐지/MBR보호/자체보호/랜섬웨어)
Ø 대상 : 위협요소로 진단된 파일의 전체 경로를 표시합니다.
악성코드
Ø 날짜 : 해당 로그가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.(연-월-일 시:분:초)
Ø 진단명 : 감염된 악성코드의 이름이나 별견한 위협의 이름을 보여줍니다.
Ø 상태 : 악성코드에 감염된 파일의 치료 상태를 표시합니다.
Ø 구분 : 악성코드로 진단한 검사 종류를 표시합니다.
(실시간 검사/기본검사/정밀검사/탐색기검사/예약검사/자체검사)
Ø 대상 : 악성코드로 진단된 파일의 전체 경로를 표시합니다.
행위기반탐지
Ø 날짜 : 해당 로그가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.(연-월-일 시:분:초)
Ø 차단 : 차단 항목인지 허용된 항목인지 표시합니다.
Ø 프로세스 :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파일을 실행한 프로세스를 표시합니다.
Ø 실행파일 :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행위를 한 파일을 표시합니다.
MBR보호
Ø 날짜 : 해당 로그가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.(연-월-일 시:분:초)
Ø 유형 : MBR 영역과 볼륨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합니다.
Ø 볼륨 : 보호된 볼륨 및 MBR을 표시합니다.
Ø 차단프로세스 : MBR 및 볼륨에 접근한 프로세스를 표시합니다.
자체보호
Ø 날짜 : 해당 로그가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.(연-월-일 시:분:초)
Ø 타입 : 자체 보호에 의해 보호된 유형을 표시합니다.
Ø 차단프로세스 : 보호되고 있는 파일에 접근한 프로세스의 전체 경로를 표시합니다.
Ø 보호파일 : 보호되고 있는 파일의 전체 경로를 표시합니다.
랜섬웨어
Ø 날짜 : 해당 로그가 발생한 날짜와 시간을 표시합니다.(연-월-일 시:분:초)
Ø 차단프로세스 : 보호되고 있는 파일에 접근한 프로세스의 전체 경로를 표시합니다.
D 영역
Ø 파일로 저장 : 현재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로그 항목들을 엑셀 호환문서(CSV)형식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.
Ø 전체 : 현재 화면에 출력되어 있는 로그 개수를 표시합니다.